티스토리 뷰
2021. 1. 21. 06:58 가정용 전기요금 계산 기본요금
가정용 전기요금 계산 기본요금 누진세
반갑습니다.
요즘은 일이 갑자기 많아져서 정신없는 하루를 보내고 있네요.
우리는 전기를 이용해서 사용하는 정말 많은 제품들을 사용을 하고 있습니다.
오늘은 가정용 전기 요금 계산 방법등을 파악해보았는데 참고해 보시면 쉽게 알 수 있습니다.
계절별로 가정에서 전기를 쓰는 기기등이 달라지게 마련입니다.
바로 계절가전이 있기 때문인데요.
추운 겨울 시즌에는 전기장판이나 온수매트, 보일러등이 그러한 경우가 되겠죠.
전열기 같은 경우는 전기를 많이 먹는 경우도 있으니 조심해서 사용을 해야 하죠.
여름철에는 에어콘과 선풍기등이 있겠죠. 보일러의 사용 빈도는 낮아집니다.
사용을 하다보면 가정용 전기요금 누진제를 신경을 쓰이게 됩니다.
예를 들어 기타계절에 속하는 1월 1일에서 6월 30일까지, 9월 1일 부터 12월 31일까지 전기를 250kWh를 사용을 했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주택용 저압일 경우 기타계절의 요금 구간은 200kWh이하 사용 시 기본요금은 910원이며 kWh당 88.3원(21년 1월 1일 적용)이 됩니다.
그 다음 구간인 201~400kWh는 182.9원입니다.
즉 200kWh까지는 88.3원이 그리고 나머지 50kWh는 182.9원이 되게 되는게 누진제도입니다.
요금체계도 올해들어서 약간 바뀌었는데요. 참고를 해보시면 됩니다.
계산기를 통해서 하는 방법과 누진제나 요금제도등 몇가지 경우를 알아보도록 할께요.
표가 궁금한 경우는 아래를 참조해서 읽어보시면 어디서 받는지 확인 할 수 있는지 알 수 있습니다.
가정용 전기요금 계산은 이렇게 표로 나와 있기도 한데 계산기를 통해서 계산 해볼 수 있습니다.
먼저 한국전력 홈페이지를 이용을 하시면 됩니다.검색창에 한국전력 사이버지점으로 입력을 하시면 쉽게 찾으실 수 있습니다.
주택용 전력 누진제는 어떻게 계산이 되는지의 개요부부도 잘 정리가 되어 있는 페이지가 있습니다.
위쪽 메뉴의 제도 / 약관
하위로 주요 전기요금 제도 선택
위쪽 항목중 주택용 요금 누진제 페이지를 보시면 됩니다.
내용을 한번 읽어보시면 되겠죠.
관련하여 아파트 전기요금제도도 관심이 간다면 해당페이지에서 찾아보시면 됩니다. 계약방법이나 방법별 특징, 세대별 계산 예시등이 있겠죠.
실제 요금 계산을 해보시려면 왼쪽에 관련 메뉴가 있습니다. 뉴스레터 위쪽에 비교부분이 보입니다.
새창으로 뜨게 되는데 아래쪽에는 2021.1.1일 개정된 부분으로 하실 수 있습니다.
참고로 개정전에는 93.3원에서 개정후에 현재 88.3원이 되었습니다.
21년 1월 1일부터 1월 31일까지 201kWh를 쓴경우 요금은 22620원
200kWh인 경우 17080원으로 차이가 납니다.
세부적으로 잠깐 보자면. 200kWh인경우 순수 전기요금은 200 * 88.3으로 17600원이 되는데요.
전체적으로 910원(기본요금) + ( 200 * 88.3= 17,660 ) + 1060(기후환경요금) + -600(연료비조정액) -4000(필수사용량보장공제) 등등 해서 17,080원이 됩니다.
계산기 항목을 보시면 자세한 내역이 나옵니다.
구간을 넘어 201kWh는 어떻게 될까요? 바로 22,620원이 됩니다. 금액 차이가 나는 경우는 세세한 요금도 있겠지만 필수사용공제부분인 4000원이 차감이 안되기 때무입니다.
필수사용량보장공제는 월 전력량 200kWh이하인 경우 저합은 월 4천원한도 고압은 월 2500원 한도입니다.
이와 관련된 안내공지부분은 사이버지점 공지사항을 보시면 됩니다.
개정된 내용이 상세히 나오니 글 작성기준으로 시간이 감에 따라 달라진다 해도 이부분을 참고해보시면 정확하겠죠.
이밖에 포털사이트에서도 간편하게 해볼 수 있습니다.
저는 기기를 살 때마다 한달 예상을 해보고 얘가 얼마가 나올까 해보기도 하는데요.
전기제품 사용량 계산으로 입력후 조회를 합니다.
해당 화면에서 각 기기별로 기본 소비전력이 나타나게 되고 하루 예상 사용시간을 입력하면 월간kWh로 환산이 되겠죠.
제품 목록이 없는 경우에도 아무거나 하나 선택후에 가지고 있는 기기의 소비전력을 입력창에 입력해서 바꿔 보시면 됩니다.
이렇게 가정용 전기요금 계산 방법과 누진제, 기본요금등을 살펴보았습니다.요금은 개편이 가끔씩 되기도 하니 앞서 말씀드린것처럼 사이버지점의 공지사항을 참고하시면 다른곳을 찾을 필요없이 자세하게 나와 있습니다.
시행전에 고시가 미리 되는 경우도 있으니 적용되는 일자나 금액은 어떻게 달라지는지도 미리 알 수 있습니다.